티스토리 뷰

Daily Life

시간대별 전기요금표 이해(주·야간, 경부하): 한국 TOU 핵심 가이드 2025

happyblissday 2025. 10. 15. 09:11

목차


     

    시간대별 전기요금표(경부하·중간부하·최대부하) 개념

     

    주·야간/경부하 중심으로 한국 시간대별 전기요금(TOU)을 이해하고, 평일·토·공휴일 시간대 차이, 최소 조건(스마트 계량기), 가전 운용 시간표, 간단 요금 비교 예시까지 실전에 바로 쓰는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1) 빠른 요약

     

     

    • 핵심 전기요금은 사용 시간대에 따라 단가가 달라지는 TOU(계시별 요금제)를 적용하면, 같은 kWh라도 경부하로 옮길수록 유리합니다2.
    • 시간대 구분은 계절·요일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야간(경부하)이 저렴, 주간 피크(최대부하)가 비쌉니다3,4.
    • 효과: 실제 연구에서 피크 사용의 2.3~4.3%가 경부하로 이동하는 수요 반응이 관찰되었습니다1.

    2) 시간대 구분표(평일·토·공휴일)

    아래 시간대는 대표적 기준 예시입니다. 요금제/계절/지역/고객유형에 따라 구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제 신청 시 전력회사(한전/계약서) 기준을 반드시 확인하세요3,4.

    구분 경부하(저렴) 중간부하 최대부하(비쌈)
    평일(예시) 22:00~08:00 / 23:00~09:00 등3,4 08:00~16:00 일부·19:00~22:00 일부 등3 11:00~12:00, 13:00~18:00 등(여름/겨울 피크 시간대 중심)3
    토요일(예시) 경부하·중간부하 중심(최대부하 일부가 중간부하로 계량) 3 중간부하 최대부하 → 중간부하 계량 규정 적용3
    공휴일(예시) 대부분 경부하 계량 규정 적용3

    제주 지역은 별도 구분(예: 경부하 22~08시, 중간 08~16시, 최대 16~22시) 등 지역 기준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3.

    3) 적용을 위한 필수 조건

    • 스마트 계량기(AMI): 시간대별 계량을 위해 필수. 지역·단지별 보급률·신청 경로는 전력사 고객센터/앱에서 확인하세요(신청 가능 지역 확대 추세)2.
    • 요금제 전환: 계약종별/계절별 시간대가 다르므로 본인 계약서 기준으로 확인 후 전환 권장2,4.

    4) 가전 운용: 언제 돌리면 유리한가

    아래는 경부하 시간대로 옮기기 좋은 대표 가전들입니다. 타이머/예약·스마트 플러그를 함께 사용하면 자동화가 쉽습니다5,6.

    가전 권장 가동 시간대(예시)
    세탁·건조기 22:00~08:00(경부하) 소음 이슈 있으면 예약 종료를 아침에 맞추기
    식기세척기 22:00~08:00(경부하) 급탕 가열형은 피크 시간대 가동 지양
    전기차 충전 심야 경부하 출근 전 80% 한도 예약 충전으로 비용/배터리 관리
    보일러·난방 패드 심야 예열 + 주간 유지 심야 예열로 축열 후 주간 유지 난이도↓
    제습기 새벽 집중(여름) 실내 습도 50~55% 타깃, 연동 타이머

    스마트 플러그로 대기전력 자동 차단을 설정하면 TOU 외에도 상시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5,6.

    5) 간단 계산 예시(동일 사용량, 시간만 이동)

    실제 단가는 요금제·계절·연료비 조정 등으로 달라집니다. 아래는 개념 이해용 예시입니다2.

    시나리오 사용량(예) 시간대 결과 가정
    식기세척기 주간 가동 1.2 kWh 최대부하 단가 ↑ (피크)
    식기세척기 야간 이동 1.2 kWh 경부하 단가 ↓ (심야)

    핵심은 동일 kWh라도 시간대를 바꾸면 요금이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고정적으로 야간으로 옮길 수 있는 항목부터 전환하세요2.

     

     

    7) 결론

    TOU의 본질피크 회피입니다. 경부하로 옮기기 쉬운 가전부터 야간으로 자동화하고, 토·공휴일 규정을 이해해 주간 비용도 줄이세요. 전환 시에는 스마트 계량기계절·요일별 구간을 반드시 확인하십시오1,3.

    8) FAQ

    Q1. 우리 집이 시간대별 요금제를 쓸 수 있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지역별 스마트 계량기(AMI) 설치·신청 여부가 관건입니다. 전력사 고객센터/앱에서 설치 상태·신청 가능 여부를 확인하세요2.
    Q2. 토요일과 공휴일엔 요금이 더 싼가요?
    토요일은 최대부하가 중간부하로 계량되고, 공휴일경부하 계량 규정이 대표적으로 적용됩니다. 다만 요금제·지역에 따라 예외가 있으니 계약서 기준을 확인하세요3.
    Q3. 스마트 플러그만으로도 체감 절감이 되나요?
    가전 대기전력 자동 차단예약 가동으로 TOU와 시너지가 납니다. 표준 프로그램과 기술 동향은 정부·연구기관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5,6.

    출처

    1. 주택용 TOU 수요 반응 분석(2025). 한국지속가능에너지학회 연구결과 보고서 1
    2. 계시별 요금제(TOU) 개요·개선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 이슈페이퍼 2
    3. 시간대 구분·토·공휴일 계량 규정(예시). 네이버 정책자료/요금표 종합 PDF 3
    4. 계절·시간대별 구분표(예시). 삼천리(한전 요금 연동) 안내 페이지 4
    5. 국내 대기전력 저감 프로그램·1W 로드맵.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5
    6. 스마트 플러그로 시간대 이동/대기전력 절감 실전 Q&A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