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전력은 기기를 쓰지 않을 때도 새는 상시 대기 소비전력입니다. 스마트 플러그로 스케줄·규칙을 만들면 사용 습관을 바꾸지 않고 자동으로 절감할 수 있습니다1,2.
1) 빠른 요약
- 핵심 안전 차단 대상/제외 대상을 먼저 구분하고(아래 표), 평일·주말 스케줄과 외출/취침 규칙을 템플릿으로 적용하세요1.
- 그룹 제어: 멀티탭·AV랙·PC주변기기를 하나의 규칙으로 묶으면 관리가 쉬워집니다3.
- 로그 확인: 월간 사용 패턴과 차단 성공률을 보고 스케줄을 미세 조정하세요4.
2) 대기전력 파악: 측정 & 라벨링
| 단계 | 방법 | 팁 |
|---|---|---|
| 1) 측정 | 플러그 내장 전력계/소형 와트미터로 대기 시 소비전력(W) 체크 | 0.5~3W라도 상시 누적되면 월 전력에 영향2 |
| 2) 라벨 | 안전 차단 OK / 상시 전원 필요 구분 스티커 | 냉장·공유기·보일러·펌프·NAS는 상시 전원 유지 |
| 3) 그룹화 | 공간·용도 기준(거실 AV, 책상, 주방 소형가전) | 그룹별 멀티탭에 스마트 플러그 적용 |
3) 스마트 플러그 선택 가이드(안전·편의)
- 정격 용량/안전 인증 확인(난방·전열기구는 여유 용량 필수)1.
- 스케줄/장면 지원: 요일별·시간대별, 일시 예외(공휴일) 기능3.
- 전력 계측/로그: 사용량 그래프·이벤트 기록으로 최적화4.
- 지역/음성 연동: 구글·네이버·애플 홈/IFTTT 호환이면 확장 쉬움.
4) 자동 차단 규칙 템플릿(복붙용)
| 상황 | 규칙 | 예시 |
|---|---|---|
| 취침 | 취침 10분 후 그룹 OFF, 기상 10분 전 ON | 23:10 거실 AV OFF → 06:50 ON |
| 외출 | 지오펜스/근접 자동화로 집을 떠나면 OFF | 모든 조명·책상 주변기기 OFF |
| 최대부하 | 낮 피크 시간대 불필요 기기 OFF | 13:00~18:00 프린터·스탠드·공청기 OFF |
| 안전 | 과열/과전류 감지 시 즉시 OFF + 알림 | 1200W 이상 순간전류 차단 |
공유기·허브·냉장고·보일러·펌프·NAS는 상시 전원 권장. 자동화에서 제외 리스트로 고정하세요1.
5) 공간/기기별 추천 스케줄
| 공간/그룹 | 차단 대상 예시 | 평일 스케줄 | 주말 스케줄 |
|---|---|---|---|
| 거실 AV | TV, 셋톱, 콘솔, 사운드바 | 취침 후 OFF / 귀가 전 ON 예약3 | 자정~오전 늦잠 고려해 ON 시간 지연 |
| 책상/PC | 모니터, 스피커, 스탠드, 충전기 | 퇴근 후 OFF, 업무 시작 20분 전 ON | 작업 시간대만 ON |
| 주방 소형 | 커피메이커, 토스터, 전기그릴 | 아침 종료 후 OFF, 저녁 필요 시 수동 ON | 식사 끝나면 자동 OFF |
| 취침등/장식등 | 스탠드, 무드등 | 자정 OFF, 일출 기준 가변 OFF도 가능 | 일몰 트리거로 자동 ON |
6) 관련 실전 글(내부 링크)
7) 결론
대기전력 절감의 핵심은 자동화와 분류입니다. 안전 차단 가능 기기만 선별하고, 취침·외출·피크 상황 중심 템플릿을 적용하면 매일 손대지 않아도 절감이 누적됩니다. 월간 로그로 차단 성공률을 확인하며 스케줄을 조정하세요2,4.
8) FAQ
- Q1. 어떤 기기는 자동 차단하면 안 되나요?
- 냉장고, 보일러, 공유기·모뎀, NAS/서버, 펌프류는 상시 전원이 필요합니다. 이들은 제외 목록으로 고정하세요1.
- Q2. 멀티탭에 스마트 플러그를 써도 되나요?
- 정격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고 발열이 적은 제품을 선택하면 가능합니다. 전열기구 다중 연결은 피하고, 플러그와 멀티탭의 누적 전류를 점검하세요1.
- Q3. 지오펜스 자동화가 불안정해요. 대안은?
- 시간 스케줄을 기본으로 두고, 홈/어웨이 전환 시 보조 트리거(Wi-Fi 연결, 현관 센서)를 함께 사용하면 오작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