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Daily Life

관리비 포함 TCO 계산법: 월세·관리비·공과금까지 한 번에(미니 계산기 포함)

happyblissday 2025. 10. 26. 15:58

목차


    월세, 관리비, 전기·가스·수도, 인터넷, 주차, 보증금 이자(기회비용), 이사비 등 일회성 비용까지 포함한 월간 총비용(TCO) 계산법을 정리했습니다. 항목별 추정식, 체크리스트, 사례표, 그리고 미니 계산기까지 제공합니다1234.

     

    월세 TCO 계산 인포그래픽(월세·관리비·공과금·보증금 이자·일회성 분할)

     

    1) 개념: TCO(월간 총비용)란?

     

     

    TCO는 거주에 드는 모든 비용을 같은 월 단위로 맞춰 더한 금액입니다. 비교 공식은 TCO = 고정비 + 변동비 + 자본비용 + 분할 일회성 − 할인입니다.

    2) 항목 분류(고정/변동/자본/일회성)

    버킷 항목 비고
    고정비 월세, 관리비(공용관리·청소·경비·승강기), 인터넷/TV, 주차 K-apt에서 항목 확인 권장1
    변동비 전기, 가스, 수도/하수, 난방, 정화조 등 사용량×단가(계절 가중치)23
    자본비용 보증금 기회비용/대출이자 보증금×연이율/12
    일회성 중개수수료, 이사비, 도배·장판, 가전 구입 분할개월로 나눠 월 환산
    할인/지원 카드 청구할인, 장기약정, 지역 지원금 월 환산하여 감액

    3) 관리비 해부: 포함/불포함 가르기

    관리비 고지서 또는 K-apt에서 세부 항목(공용전기·청소·경비·승강기·주차·TV공용료 등)과 세대별 개별요금(전기·수도·가스)이 분리되는지 확인하세요1. 포함된 항목은 별도 추정에서 제외합니다.

    4) 전기·가스·수도 추정식(간단)

    항목 간이 추정식 메모
    전기 월 사용량(kWh) × 실효단가(원/kWh) 실효단가 = 전력량요금 또는 전체요금 ÷ 사용량2
    가스 월 사용량(m³) × 단가(원/m³) 지역/계절 단가 확인(도시가스 고지서)3
    수도 인원 × 1인 기준 사용량 × 단가 지자체 수도요금표 참고4

    5) 보증금 → 월 환산(자본비용)

    월 자본비용 = 보증금 × (연이율 ÷ 12). 보수적으로는 예·적금 금리나 기준금리(BOK) 근처를 적용합니다. 대출이 있다면 실지급 이자율을 사용하세요.

    6) 일회성 비용 분할(감가/상각 느낌으로)

    중개수수료·이사비·가전 구입 등은 거주 예상 개월로 나눠 월 환산해주세요. 예: 60만원 이사비, 24개월 거주 예상 → 25,000원/월.

    7) 표준 수식(요약)

    TCO = 월세 + 관리비 + (전기+가스+수도) + 인터넷/TV + 주차 + 기타정기 − 할인 + (보증금×연이율/12) + (일회성/분할개월)

    8) 사례 비교(원룸/투룸/오피스텔)

    항목 원룸(예) 투룸(예) 오피스텔(예)
    월세 600,000 900,000 1,200,000
    관리비 80,000 120,000 180,000
    전기/가스/수도 70,000 110,000 150,000
    인터넷/주차 25,000 45,000 70,000
    보증금 이자 50,000 100,000 150,000
    일회성 분할 20,000 25,000 35,000
    TCO 합계 845,000 1,300,000 1,785,000

    * 예시는 임의 수치입니다. 실제 고지서·계약 조건으로 교체하세요.

     

     

    9) 월간 TCO 미니 계산기

    10) 바로 적용 체크리스트

    • 관리비 항목표에서 포함/불포함 확정(공용 vs 세대별)1
    • 최근 3개월 고지서 평균으로 전기·가스·수도 산출234
    • 보증금 월 환산 반영(기회비용/대출이자)
    • 이사/중개/가전 등 일회성은 거주개월로 분할
    • 카드/통신/주차 할인은 월 단위 감액

    11) 흔한 함정(주의)

    • 관리비에 포함된 공과금을 다시 더함 (이중계상)
    • 보증금 자본비용을 무시 (월세만 비교)
    • 한겨울/한여름 극값만으로 연중 평균 추정
    • 장기약정·카드할인 만료 후 금액 미반영

    13) 결론

    TCO는 모든 비용을 월 기준으로 통일해 비교할 때 가장 정확합니다. 관리비 포함 항목을 먼저 가르고, 공과금은 최근 고지서 평균으로, 보증금은 월 자본비용으로, 일회성은 분할로 반영하세요. 계산기는 언제든 위 입력치를 바꿔 즉시 재평가할 수 있습니다1234.

     

     

    14) FAQ

    Q1. 전기·가스·수도는 계절 편차가 큰데 어떻게 반영?
    최근 3~6개월 평균을 사용하되, 겨울/여름 피크가 큰 경우 가중 평균(성수기 2, 비성수기 1 가중치)을 권장합니다23.
    Q2. 보증금이 크고 월세가 싼 조건 vs 보증금이 낮고 월세가 높은 조건?
    보증금의 월 자본비용을 반영하면 공정 비교가 됩니다. 동일 TCO라면 유동성(현금 여유)과 리스크(보증금 회수 위험)를 함께 고려하세요.
    Q3. 관리비가 매달 다르게 나와요. 어떻게 입력?
    관리사무소 고지서의 변동 항목 평균을 사용하세요. 공용부만 포함이면 세대별 전기/수도/가스는 별도 입력이 필요합니다1.

    출처

    1. K-apt 공동주택관리정보 — 관리비 항목/고지 열람 1
    2. 한국전력 — 전기요금/이용안내(실효단가 산정 참고) 2
    3. 대한도시가스협회 — 도시가스 요금/단가 안내 3
    4. 서울물 — 수도요금 안내/요율표(지자체별 확인)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