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관리비, 전기·가스·수도, 인터넷, 주차, 보증금 이자(기회비용), 이사비 등 일회성 비용까지 포함한 월간 총비용(TCO) 계산법을 정리했습니다. 항목별 추정식, 체크리스트, 사례표, 그리고 미니 계산기까지 제공합니다1234.

1) 개념: TCO(월간 총비용)란?
TCO는 거주에 드는 모든 비용을 같은 월 단위로 맞춰 더한 금액입니다. 비교 공식은 TCO = 고정비 + 변동비 + 자본비용 + 분할 일회성 − 할인입니다.
2) 항목 분류(고정/변동/자본/일회성)
| 버킷 | 항목 | 비고 |
|---|---|---|
| 고정비 | 월세, 관리비(공용관리·청소·경비·승강기), 인터넷/TV, 주차 | K-apt에서 항목 확인 권장1 |
| 변동비 | 전기, 가스, 수도/하수, 난방, 정화조 등 | 사용량×단가(계절 가중치)23 |
| 자본비용 | 보증금 기회비용/대출이자 | 보증금×연이율/12 |
| 일회성 | 중개수수료, 이사비, 도배·장판, 가전 구입 | 분할개월로 나눠 월 환산 |
| 할인/지원 | 카드 청구할인, 장기약정, 지역 지원금 | 월 환산하여 감액 |
3) 관리비 해부: 포함/불포함 가르기
관리비 고지서 또는 K-apt에서 세부 항목(공용전기·청소·경비·승강기·주차·TV공용료 등)과 세대별 개별요금(전기·수도·가스)이 분리되는지 확인하세요1. 포함된 항목은 별도 추정에서 제외합니다.
4) 전기·가스·수도 추정식(간단)
| 항목 | 간이 추정식 | 메모 |
|---|---|---|
| 전기 | 월 사용량(kWh) × 실효단가(원/kWh) | 실효단가 = 전력량요금 또는 전체요금 ÷ 사용량2 |
| 가스 | 월 사용량(m³) × 단가(원/m³) | 지역/계절 단가 확인(도시가스 고지서)3 |
| 수도 | 인원 × 1인 기준 사용량 × 단가 | 지자체 수도요금표 참고4 |
5) 보증금 → 월 환산(자본비용)
월 자본비용 = 보증금 × (연이율 ÷ 12). 보수적으로는 예·적금 금리나 기준금리(BOK) 근처를 적용합니다. 대출이 있다면 실지급 이자율을 사용하세요.
6) 일회성 비용 분할(감가/상각 느낌으로)
중개수수료·이사비·가전 구입 등은 거주 예상 개월로 나눠 월 환산해주세요. 예: 60만원 이사비, 24개월 거주 예상 → 25,000원/월.
7) 표준 수식(요약)
TCO = 월세 + 관리비 + (전기+가스+수도) + 인터넷/TV + 주차 + 기타정기 − 할인 + (보증금×연이율/12) + (일회성/분할개월)
8) 사례 비교(원룸/투룸/오피스텔)
| 항목 | 원룸(예) | 투룸(예) | 오피스텔(예) |
|---|---|---|---|
| 월세 | 600,000 | 900,000 | 1,200,000 |
| 관리비 | 80,000 | 120,000 | 180,000 |
| 전기/가스/수도 | 70,000 | 110,000 | 150,000 |
| 인터넷/주차 | 25,000 | 45,000 | 70,000 |
| 보증금 이자 | 50,000 | 100,000 | 150,000 |
| 일회성 분할 | 20,000 | 25,000 | 35,000 |
| TCO 합계 | 845,000 | 1,300,000 | 1,785,000 |
* 예시는 임의 수치입니다. 실제 고지서·계약 조건으로 교체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