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Daily Life

출퇴근 60/120km 전기차 월비용 가이드 : 완속·급속·혼합 3시나리오 브레이크다운

happyblissday 2025. 10. 8. 12:57

목차


     

    하루 60km / 120km 통근 기준으로 전기차 월비용을 완속(야간 TOU)·혼합(완속+급속)·급속 위주 3시나리오로 나눠 계산했습니다. 전비(Wh/km)·충전 효율·시간대 요금·급속 단가를 변수로 두고, 누구나 같은 방식으로 재현 가능한 계산 공식민감도 분석을 제공합니다 1, 2.

     

    전기차 통근 월비용 가이드: 60/120km, 완속·급속·혼합 3시나리오 비교

     

    1) 핵심 요약 - “야간 완속이 베이스, 급속은 보조”

     

     

    • 월 주행거리: 60km × 22영업일 ≈ 1,320km, 120km × 22영업일 ≈ 2,640km.
    • 계산식: 월비용 = (주행거리 × 전비(Wh/km) ÷ 1000 ÷ 충전효율) × 단가(원/kWh).
    • TOU(야간) 완속을 기본으로 하고, 부족분만 급속으로 보완하면 월비용을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1, 3.
    • 급속 100% 의존 시 kWh당 단가 상승·대기시간 변동성이 커집니다 2.

    아래 수치는 예시 가정을 바탕으로 한 모델입니다. 지역별 요금제/사업자/프로모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본문 계산표의 변수(전비/단가/효율)만 바꿔 재계산하세요 1.

    < 용어 간단 해설>

    • 전비(Wh/km): 1km 주행에 소모되는 전력량. 낮을수록 효율적.
    • TOU: Time-of-Use. 시간대별 전기요금(야간 단가↓) 1.
    • 충전 효율: 미터기 투입 대비 실제 배터리에 저장되는 비율. 배터리 온도/출력/케이블 길이 영향을 받음.
    • 로밍: 자사 카드로 타사 충전망 결제. 수수료·단가 상향 가능 2.

    2) 변수 가정 - 단가·전비·충전효율

    항목 기본값(예시) 설명
    전비(Wh/km) 150 Wh/km (도심), 170 Wh/km (복합), 200 Wh/km (고속) 차종·계절·주행패턴에 따라 변동. 겨울철 히터·저온 영향으로 ↑ 3
    완속 충전 효율 0.90 케이블/충전기 손실 고려(10% 손실 가정).
    급속 충전 효율 0.88 배터리 온도·출력 커브에 따라 손실이 약간 더 큼.
    야간 TOU 단가 예: 130 원/kWh 지역/요금제/계절 변동. *예시* 1
    급속 평균 단가 예: 350 원/kWh 공영/민간/로밍 수수료에 따라 범위 존재 2

    계산 공식: 월비용 = (월주행거리 × 전비 ÷ 1000 ÷ 효율) × 단가

    3) 하루 60km 통근 - 월비용 3시나리오

    시나리오 충전 믹스 적용 전비 효율 단가 월주행(1,320km) 월비용(원)
    완속-야간 베이스 완속 100% 170 Wh/km 0.90 130 원/kWh 1,320 km ⟹ (1320×170 ÷1000 ÷0.90)×130 ≈ 34,000
    혼합형 완속 70% + 급속 30% 170 Wh/km 완속 0.90 / 급속 0.88 130 / 350 1,320 km ⟹ 완속분 ≈ 23,800 + 급속분 ≈ 29,700 → 53,500
    급속 위주 급속 100% 170 Wh/km 0.88 350 원/kWh 1,320 km ⟹ (1320×170 ÷1000 ÷0.88)×350 ≈ 89,300

    ※ 계절·주행속도·난방 사용 시 전비가 10~30% 변동할 수 있습니다 3.

    4) 하루 120km 통근 - 월비용 3시나리오

    시나리오 충전 믹스 적용 전비 효율 단가 월주행(2,640km) 월비용(원)
    완속-야간 베이스 완속 100% 200 Wh/km (고속 비중↑) 0.90 130 원/kWh 2,640 km ⟹ (2640×200 ÷1000 ÷0.90)×130 ≈ 76,200
    혼합형 완속 60% + 급속 40% 200 Wh/km 완속 0.90 / 급속 0.88 130 / 350 2,640 km ⟹ 완속분 ≈ 34,300 + 급속분 ≈ 94,300 → 128,600
    급속 위주 급속 100% 200 Wh/km 0.88 350 원/kWh 2,640 km ⟹ (2640×200 ÷1000 ÷0.88)×350 ≈ 209,500

    5) 민감도 - “단가 10%↑ = 월비용 10%↑”

    • 단가 영향: kWh단가가 10% 오르면 월비용도 10% 내외로 선형 상승.
    • 전비 영향: 170→200 Wh/km(약 18% 악화) 시 동일 조건에서 월비용도 ≈18% 상승 3.
    • 효율 영향: 효율 0.90→0.85 하락 시, 같은 주행거리라도 충전량이 늘어 비용↑.

    결론: 야간 예약 완속 + 겨울철 프리컨디셔닝 + 고속 급감속 최소화만으로도 체감 비용을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3.

    6) 실행 체크리스트(5분 셋업)

    1. 차량·충전기 앱에서 야간 예약 ON, 최대전력 제한(예: 80%) 설정 1
    2. 출퇴근 루틴에 맞춰 완속 우선, 급속은 주 1~2회 보충으로 계획
    3. 주유·통행료 대비 월비용 시트 작성(예: Google Sheets 템플릿)
    4. 겨울철 프리컨디셔닝·타이어 공기압·에코모드로 전비 안정화 3

    7) 비용 절감 팁 - 로밍·포인트·스케줄 최적화

    • 로밍 수수료 점검: 타사 급속망을 이용할 때 로밍 수수료가 붙을 수 있습니다. 정기 이용 구간은 자사 결제가 되는 충전소로 루틴을 맞추면 kWh 단가를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2.
    • 포인트/제휴카드: 통신사·카드사·지자체 제휴로 즉시할인/청구할인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월 충전량이 일정하다면 정액/구간형 할인이 유리합니다 2.
    • 야간 예약 강화: 집/직장 주차가 가능하다면 TOU 야간으로 최대한 채우고, 급속은 장거리·변수 상황에 한정합니다 1.
    • 겨울철 히터 전략: 탑승 전 프리컨디셔닝, 시트/핸들히터 우선 → 전비 악화 최소화 3.

    8) 지역/사업자 단가 범위(예시)

    구분 완속(야간 TOU) 완속(주간) 급속(공영 평균) 급속(민간 평균)
    kWh 단가(원) 110~1501 160~2201 280~3302 320~4202
    비고 요금제·계절·지자체 차등 피크요금·수요관리 영향 지자체 지원/운영비 반영 로밍/결제수수료 포함시 상향

    ※ 실제 단가는 지역·사업자·프로모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문 계산표의 단가 셀만 바꿔 재계산하세요 1, 2.

    9) 케이스 스터디 - 2주 로그 기반 비교

    항목 A: 60km, 완속 90% B: 120km, 혼합(완속 60%+급속 40%)
    주행거리(2주) ~660km ~1,320km
    평균 전비 165 Wh/km 195 Wh/km
    투입 kWh ~109 kWh ~292 kWh
    지불 단가 야간 TOU 130원 완속 130원/급속 350원
    총 비용 ~14,000원 ~63,000원
    메모 프리컨디셔닝 적용3 고속 비중↑, 급속 대기 발생

    ※ 산식: 비용 = (전비×거리 ÷ 1000 ÷ 효율) × 단가 / 효율: 완속 0.90, 급속 0.88 가정.

    10) 내 차 맞춤 계산 워크플로우(3분)

    1. 차량 앱에서 지난 7일 평균 전비 확인(Wh/km) 3
    2. 완속/급속의 효율을 각 0.90/0.88로 가정(충전기 스펙에 맞게 보정 가능)
    3. 지역 야간 TOU 단가와 단골 급속소 kWh 단가를 기록 1, 2
    4. 월 주행거리(통근거리×영업일)를 입력
    5. 본문의 표에 값만 대입해 완속/혼합/급속 3안 비용을 비교
    6. 비용 변동이 크면 완속 비율을 10%p씩 올려 최적점을 탐색

    11) 함께 보면 좋은 글

    12) 결론 - “집에선 야간 완속, 바깥에선 계획형 급속”

    월 1,300~2,600km 통근자는 야간 완속을 기본에 두고, 장거리·변수 구간만 계획형 급속으로 보완하면 비용·시간 모두 안정화됩니다. 표의 변수(전비·효율·단가)를 본인 조건으로 바꿔 재계산하고, 겨울철에는 전비 악화(난방)를 감안해 10~30% 여유를 두면 예산 이탈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13) FAQ - 자주 묻는 질문

    Q1. 집 완속만으로 120km 통근이 가능할까요?

    A. 벽부형 7kW 기준, 야간 6~8시간이면 40~50kWh 충전이 가능해 대부분 커버됩니다. 다만 겨울철·고속 비중이 높으면 주 1회 급속 보충이 유리합니다 1.

    Q2. 급속 위주로 다니면 배터리 열화가 빨라지나요?

    A. 최신 BMS는 열관리로 내구성을 관리하지만, 잦은 고출력 급속·높은 SOC 구간 충전은 열 스트레스를 키울 수 있어, 일상은 완속 위주가 권장됩니다 2.

    Q3. 월비용이 계속 들쑥날쑥합니다. 무엇부터 점검할까요?

    A. (1) 야간 TOU 예약 ON, (2) 급속 로밍 수수료/포인트 확인, (3) 겨울철 히터 사용 패턴·타이어 공기압 체크, (4) 동일 경로·시간대 기준으로 로그 재수집을 권합니다 1, 2.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