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빠른 요약
2. 용량 경계(100Wh·160Wh)와 허용 개수
- 장착 배터리(PED/드론/카메라 안에 장착): 기내 허용, 위탁도 가능하나 제조사 전원 OFF·손상 없음·보호 기준 준수 필요.
- 스페어(여분) 배터리: 기내만 가능. 위탁 금지. 단자 절연·개별 포장 필수.1
- 용량 기준(리튬이온 Wh):
- 미국 보안 가이드: 파워뱅크/스페어는 기내만, 101~160Wh 스페어 2개까지 승인 필요.4
- 한국 최근 추세: 기내 충전 금지·선반 보관 금지 공지 강화(휴대/좌석 포켓 권장).3
중요: 드론 배터리는 대개 40~99Wh 구간이 많아 일반적으로 허용되지만, 촬영용 대용량 V-Mount 등은 100~160Wh/승인, 또는 >160Wh 금지에 걸리기 쉬움.
3. 스페어 배터리 포장·보관 체크
- 단자 절연: 개별 케이스/지퍼백에 하나씩 넣고 단자에 절연 테이프.1
- 손상·부풀음 금지: 팽창·찌그러짐·젖음·크랙 있으면 반입 불가 가능.
- 수화물 금지: 스페어는 절대 위탁 금지. 기내 반입 가방에 보관.1
- 기내 충전/사용 금지: 최신 한국 항공 안전 지침 반영. 좌석 포켓에 휴대, 선반 보관 지양.3
Tip 검사대에서는 배터리를 꺼내 가시화하면 통과가 빠릅니다(미국 TSA 안내 참조).4
4. 항공사별 주의점(대한항공/아시아나)
- 대한항공: >160Wh 전면 금지, 단자 절연 권고(테이프/개별 포장). 일부 특수 배터리 별도 제한.5
- 아시아나: ≤100Wh 스페어 최대 5개, 100~160Wh 스페어 2개(승인 필요), >160Wh 금지. mAh→Wh 계산식 안내.6
항공사 정책은 수시 업데이트됩니다. 항공사 공지 & 체크인 시 승인 절차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5. mAh → Wh 계산법(라벨 읽기)
Wh = (mAh ÷ 1000) × V — 예: 5,000mAh · 3.7V ≈ 18.5Wh.6
6. 기내 반입 체크리스트
7. 같이 보면 좋은 글
- 허브: 항공 보조배터리 규정·Q&A 종합 허브
- mAh→Wh 라벨 읽기 → 보조배터리 mAh→Wh 계산법 & 라벨 가이드
- 100Wh/160Wh 경계 Q&A → 보조배터리 100Wh/160Wh 경계선 Q&A
8. FAQ
Q1. 드론 배터리 스페어 4개(각 80Wh)를 가져가도 되나요?
A. 일반적으로 가능하나, 스페어는 기내만·단자 절연·개별 포장이어야 하며 항공사별 개수 한도 공지를 확인하세요.1
Q2. 120Wh 배터리 3개를 들고 가도 되나요?
A. 100~160Wh 스페어는 항공사 승인 대상이며 일반적으로 최대 2개까지 허용됩니다. 3개는 거절될 수 있습니다.2,4
Q3. 기내에서 파워뱅크로 카메라를 충전해도 되나요?
A. 한국 항공사의 최신 안전 지침은 기내 충전 금지·오버헤드 보관 금지를 공지하고 있습니다. 각 항공사 공지를 확인하세요.3
9. 결론
출처
- FAA PackSafe — Lithium Batteries
- IATA — Passengers Travelling with Lithium Batteries (2025)
- Reuters — South Korea limits power banks on flights (2025)
- TSA — Power Banks / Spare Lithium Batteries
- Korean Air — Restricted Items (Lithium Batteries)
- Asiana Airlines — Restricted Transport Items (Lithium battery table & Wh formul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