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썸네일에서 상업적으로 써도 되는 무료 한글 폰트를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OFL·전용 라이선스 차이, 표기(크레딧) 규정, 금지 사항, 추천 폰트와 다운로드 경로, 서브셋·임베드 규칙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무료’라고 해도 상업적 사용·표기·임베드 조건이 제각각이라 불안합니다. 라이선스를 놓치면 영상 삭제·수익 차단 리스크가 생깁니다. 아래 체크리스트·표만 따르면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습니다12345. 이 글은 유튜브 썸네일/영상 중심 가이드입니다. 오늘 쓰는 템플릿에 OFL 계열부터 적용해 보세요.
1) 한눈에 요약
- OFL SIL Open Font License 계열(예: Noto, Spoqa, Pretendard)은 상업적 사용·수정·재배포 허용1
- 전용 라이선스 나눔·배민·G마켓·LINE 등은 상업 사용 허용이지만 표기 권장/조건 등 세부가 다름 → 공식 페이지 확인 필수345
- 영상 자막·그래픽으로의 렌더링은 대체로 허용(파일 재배포와 구분)2
- 웹·앱 웹폰트/CDN·앱 번들 임베드는 배포처 약관에 따름 — OFL은 비교적 자유12
2) 저작권·라이선스 빠르게 이해
| 구분 | 핵심 허용 | 주의/금지 | 근거 |
|---|---|---|---|
| OFL 1.1(SIL) | 상업적 사용, 수정, 재배포, 임베드(라이선스 텍스트 유지) | 폰트 단독 판매·혼동 유발 명칭 금지 | OFL 조항1 |
| 배포처 전용 라이선스 | 대부분 상업적 사용 허용, 배포·표기 가이드 제공 | 재배포 제한·표기 권장/조건 등 상이 | 공식 페이지 공지345 |
항상 공식 배포처에서 내려받고, 저장 폴더에 라이선스 파일을 함께 보관하세요.
3) 유튜브용 표기(크레딧) 규정 가이드
| 상황 | 권장 표기 예시 | 근거/비고 |
|---|---|---|
| OFL 계열(Noto, Spoqa, Pretendard 등) | 영상 설명란에 “Fonts: Noto Sans KR (SIL OFL 1.1)” | 표기 의무는 아니나 권장12 |
| 나눔/배민/LINE/G마켓 등 | “본 영상 일부에 ○○ 글꼴 사용(배포처 고지)” | 배포처 안내 준수 권장345 |
| 썸네일에 직접 표기 | 필수 아님. 설명란·고정 댓글 표기가 실무적 | 디자인 방해 최소화 |
4) 금지·주의 체크리스트
- 폰트 파일 자체를 유료·무료로 재배포하지 않기(링크 공유는 OK)12
- 브랜드·상표 유사 폰트명으로 개조·배포 금지(OFL 명칭 조항)1
- 배포처 상업 사용 제외 목록·목적(예: 임베디드 기기·서버 설치 등) 확인34
5) 추천: 유튜브 썸네일/영상 자막용 무료 한글 폰트
| 폰트 | 용도 | 특징 | 라이선스 | 공식 경로 |
|---|---|---|---|---|
| Noto Sans KR | 자막/본문 | 가독성 우수, 굵기 다양 | OFL 1.1 | Google Fonts2 |
| Noto Serif KR | 썸네일 헤드라인 | 클래식한 명조, 대비감↑ | OFL 1.1 | Google Fonts2 |
| Pretendard | 썸네일/본문 | 모던 산세리프, 웹폰트/CDN 용이 | OFL 1.1 | GitHub 공식6 |
| Spoqa Han Sans Neo | 자막/본문 | 경량/가독, Neo 리뉴얼 | OFL 1.1 | GitHub 공식7 |
| NanumSquare Neo | 썸네일/본문 | 국민 산세리프 계열, 굵기 폭넓음 | 전용(상업 가능) | 네이버 한글3 |
| LINE Seed KR | 썸네일 헤드라인 | 탄탄한 굵기, 모바일 친화 | 전용(상업 가능) | LINE 공식5 |
| Gmarket Sans | 썸네일 헤드라인 | 굵은 제목 스타일, 체감 대비↑ | 전용(상업 가능) | 공식 배포처8 |
※ 전용 라이선스 계열은 배포처의 표기 권장/조건·재배포 제한을 확인하세요.
6) 파일 포맷·서브셋팅(썸네일·웹폰트 운용)
- 썸네일(이미지): 폰트 파일 비공개, 결과물은 래스터 이미지이므로 대체로 안전
- 웹폰트: WOFF2 우선, 서브셋(KSX1001 핵심 + 필요 자모)으로 용량↓, CDN 사용 시 라이선스·CORS 확인26
- 앱 번들: OFL은 동봉 가능(라이선스 파일 포함). 전용 라이선스는 약관 확인
7) 실무 워크플로우(권장)
- 공식 페이지에서 폰트 다운로드 → 라이선스 파일 동봉
- 폰트 시트 제작: 썸네일 H1·H2·본문·자막 타입스케일 정의
- 유튜브 템플릿(PSD/XD/Canva)과 문단/문자 스타일 동기화
- 설명란에 표기 권장 문구 템플릿 붙여넣기
- 분기별로 정책 변경 크롤 체크(배포처 공지 RSS/즐겨찾기)
8) 표기 권장 문구(복붙용)
| 폰트 | 예시 문구 |
|---|---|
| Noto Sans/Serif KR | Fonts: Noto Sans/Serif KR — SIL Open Font License 1.11 |
| Pretendard | Fonts: Pretendard — SIL Open Font License 1.16 |
| Spoqa Han Sans Neo | Fonts: Spoqa Han Sans Neo — SIL Open Font License 1.17 |
| Nanum/LINE/Gmarket 계열 | 본 콘텐츠 일부에 ○○ 글꼴 사용 — 배포처 안내 준수358 |
9) FAQ
- Q1. 썸네일 PSD 공유 파일에 폰트를 포함해도 되나요?
- OFL 계열은 라이선스 텍스트를 포함하면 가능하지만, 전용 라이선스는 재배포 제한이 있을 수 있어 링크 안내만 권장합니다13.
- Q2. 방송·OTT에도 동일하게 써도 될까요?
- 대체로 가능하나, 임베디드 장치·서버 설치 등은 별도 조건일 수 있습니다. 기관·배포처 지침을 확인하세요35.
- Q3. 표기를 어디에 넣는 것이 좋나요?
- 유튜브 설명란·고정 댓글이 효율적입니다. 영상 자막에 직접 삽입은 필수 아님.
10) 관련 실전 글
11) 결론
썸네일·자막은 결과물이 이미지·영상 프레임이므로, 파일 재배포가 아닌 한 대체로 안전합니다. 가장 무탈한 선택은 OFL 계열부터 운용하고, 전용 라이선스 계열은 공식 페이지에서 최신 정책과 표기 권장을 확인·반영하는 것입니다123.
※라이선스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하단 출처의 공식 페이지를 확인 후 사용해 주세요. 본 콘텐츠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출처
- SIL Open Font License 1.1 — 공식 전문
- Google Fonts — FAQ & Licensing
- NAVER 한글 — 나눔글꼴 안내/다운로드
- LINE SEED — 공식 소개/다운로드
- Google Fonts — Noto Sans/Serif KR
- Pretendard — GitHub 공식(라이선스/배포)
- Spoqa Han Sans Neo — GitHub 공식
- G마켓 Sans — 공식 소개/다운로드
※ 본 문서는 정보 제공 목적입니다. 사용 전 반드시 각 배포처의 최신 라이선스 공지·FAQ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