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항공운송·특송에서 쓰는 부피무게(체적무게) 공식과 국내 택배의 ‘세 변 합/최장변’ 규칙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5000/6000 공식, 반올림 규칙, 상자 규격 선택법, 제주·도서 할증 회피 팁까지 표·사례로 안내합니다.

가벼워도 상자가 크면 부피무게로 요금이 껑충 뜁니다. 공식과 반올림, 국내 택배 규칙을 혼동하면 추가요금·반송을 겪기 쉽죠. 아래 표와 예제로 5000/6000 공식과 국내 세 변 합 규칙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12348. 해외 판매·개인직구·샘플 발송이 잦은 분께 특히 핵심입니다. 치수·중량을 재고, 아래 계산·체크리스트대로 상자 규격을 먼저 최적화하세요.
1) 빠른 요약
- 국제 항공 부피무게 일반 규칙: (L×W×H cm)÷6000 (IATA, 항공화물)278
 - 국제 특송 DHL·FedEx·UPS 등: (L×W×H cm)÷5000 사례 다수356910
 - 국내 택배 대체로 세 변 합/최장변 vs 중량 중 큰 기준 적용(부피무게 공식 직접 미사용)11
 - 핵심 전략 상자 체적↓(세 변 합·최장변↓) → 부피무게·규격구간 동시 절감
 
2) 부피무게란(개념)
부피무게(Volumetric/DIM Weight)는 항공기의 공간 점유를 비용에 반영하기 위해 체적을 무게로 환산한 값입니다. 요금 청구는 실중량 vs 부피무게 중 큰 값을 적용합니다235.
3) 공식 & 반올림(요약 표)
| 구분 | 공식(㎝/kg) | 반올림/절사 규칙(예) | 비고 | 출처 | 
|---|---|---|---|---|
| IATA/항공화물 | (L×W×H) ÷ 6000 | 소수점 처리·최소단위는 항공사 규정 참조 | 국제 항공 운송 일반 룰 | 2812 | 
| 대한항공 카고 | (L×W×H) ÷ 6000 | 소수점 첫째자리 반올림/내림 규정 및 0.5kg 단위 등 고지 | 항공사별 세부 규칙 따름 | 12 | 
| DHL Express | (L×W×H) ÷ 5000 | 0.5kg 또는 1kg 단위 반올림 | 국제 특송 | 3913 | 
| FedEx | (L×W×H) ÷ 5000 | kg는 5000, 인치는 139/305 등 공지 | 국제 특송 | 41014 | 
| UPS | (L×W×H) ÷ 5000 (지역·상품에 따라 상이) | 0.5kg 반올림 등 고지 | 국제 특송 | 615 | 
항공·특송사는 상품·국가·과금정책에 따라 분모(5000/6000)·반올림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당사 공지를 확인하세요2346.
4) 국내 택배 vs 국제(핵심 차이)
- 국내: 세 변 합(예: 80/100/120/140/160cm)·최장변 제한, 중량과 비교해 큰 기준 적용(예: CJ 최대 세 변 합 160cm·최장변 100cm·≤25kg)11
 - 국제: 부피무게 공식(5000/6000)으로 체적 환산해 실중량과 비교하여 큰 값 적용234
 
5) 상자 규격 선택(체크리스트)
- 세 변 합 160cm, 최장변 제한(예: 100~120cm)을 넘지 않도록 설계11
 - 공간 여유가 크면 부피무게 증가 → 완충재 최소화·맞춤 박스로 체적 절감
 - 여러 작은 박스 vs 큰 1박스는 권역·최저단가·할증을 비교해 TCO 판단
 
6) 계산 예시(부피무게 vs 실중량)
| 사례 | 치수/중량 | 부피무게(kg) | 적용 기준 | 설명 | 
|---|---|---|---|---|
| 가벼운데 큰 박스(국제 특송) | 50×40×30cm / 5kg | (50×40×30)÷5000 = 12kg3 | 12kg vs 5kg → 12kg | DHL 예시: 실중량보다 부피무게가 커서 12kg 과금 | 
| 작고 무거운 박스(국제 항공) | 30×20×15cm / 10kg | (30×20×15)÷6000 = 1.5kg2 | 10kg vs 1.5kg → 10kg | 실중량이 지배 → 체적 최적화 필요성 낮음 | 
| 국내 택배(규격 판정) | 80×30×20cm / 6kg | — | 세 변 합 130cm & 6kg → 중간 구간 | 국내는 세 변 합/중량 중 큰 기준으로 구간 산정11 | 
정확한 청구는 각사 요금조회기/공지로 최종 확인하세요34611.
7) 제주·도서 할증 및 권역
국내 택배·우체국은 권역(제주·도서)에 따라 할증이 붙습니다. 우체국은 제주 익일·D+2 등 옵션별 요금이 별도로 제시되고, 민간택배도 권역을 고르면 자동 반영됩니다111.
8) 반올림·치수 측정 규정(항공 예)
- 항공화물은 6000cm³=1kg 환산, 소수점 반올림·절사 규칙을 항공사 공지에 따름(예: 대한항공 카고)12
 - 특송은 산출 후 0.5kg/1kg 반올림 등 세부 규정이 상이361315
 
9) 실무 체크리스트(추가요금 방지)
- 출고 전 실중량과 치수(최장변·세 변 합) 동시 측정
 - 국제는 5000/6000 둘 다 계산 → 큰 값 적용 가정으로 견적
 - 국내는 세 변 합 구간과 최장변 제한 먼저 통과 확인11
 - 박스는 내용물에 맞춤형으로(완충재 최소화) → 체적/규격 구간 절감
 - 제주·도서 거래 잦으면 권역 기준 상시표를 만들어 반복 비용 관리1
 
10) FAQ
- Q1. 5000과 6000 중 어떤 걸 써야 하나요?
 - 항공화물(IATA)·일부 항공사는 6000, DHL·FedEx·UPS 등 특송은 5000이 일반적입니다. 이용하는 회사의 공지를 우선하세요2346.
 - Q2. 국내 택배에서도 부피무게로 과금되나요?
 - 대부분 세 변 합/최장변 vs 중량 중 큰 기준으로 구간을 판정합니다(공식 부피무게 직접 사용 X). 다만 박스가 커지면 상위 구간으로 올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납니다11.
 - Q3. 반올림 때문에 요금이 바뀌나요?
 - 네. 항공/특송은 소수점 처리와 최소 과금 단위 규칙이 있어 0.1~0.5kg 차이로 구간이 변할 수 있습니다. 치수·중량은 보수적으로 산정하세요1215.
 
11) 관련 실전 글
12) 결론
해외 발송은 부피무게(5000/6000), 국내 발송은 세 변 합/최장변 vs 중량이 핵심입니다. 규칙 차이를 이해하고 박스 체적을 먼저 최적화하면 추가요금·반송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234611.
출처
- 우체국(국내) 소포 요금·권역 안내
 - IATA — Air cargo tariffs & rules(6000 규칙 개요)
 - DHL — Volumetric weight 계산 가이드(5000)
 - FedEx — Dimensional weight 공식(5000/139/305)
 - DHL Express — Volumetric calculator(5000)
 - UPS Korea — Shipping dimensions & weight(5000, 반올림 안내)
 - 대한항공 카고 — Air Cargo Tariff(6000, 반올림 규정)
 - CargoAI — Air freight DIM weight 개요(6000=1kg 설명)
 - DHL Express UK — Measuring & weighing(5000, 반올림)
 - FedEx DE — DIM weight divisor 안내(5000 중심)
 - CJ대한통운 — 배송운임검색(세 변 합·최장변·중량 중 큰 기준)
 - 우정사업본부 EMS·국제우편 공지 — Volumetric weight 표기 사례
 - UPS UK — DIM weight(5000, 0.5kg 반올림)
 - FedEx — How to calculate charges(PDF, 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