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ravel

항공 수하물 규정 2025: 핵심표(115·158·23kg) — 항공사 매트릭스

happyblissday 2025. 10. 23. 23:49

목차


    항공 수하물 규정 2025: 핵심표(115·158·23kg) — 항공사 매트릭스

    국제선/국내선 항공 수하물 규정을 한 페이지에 정리했습니다. 기내 7kg·삼변합 115cm, 무료 위탁 23kg·삼변합 158cm 기준, 3-1-1 액체 규정, 배터리·금지품, 초과수하물 사전결제 절약법까지 항공사별 매트릭스로 한눈에 확인하세요1.

     

    항공 수하물 규정 2025 핵심표(115·158·23kg) — 항공사 매트릭스

     

    ※ 실제 적용치는 항공사·운임·노선·회원등급·유아동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탑승 항공사 공지를 2중 확인하세요1,3,4,5,6.

    1) 한눈에 보는 수하물 준비 로드맵

     

     

    단계 해야 할 일 바로가기
    규정 파악 항공사별 기내/위탁 규격·중량 확인(115/158/23kg 기준 비교) 항공사별 무료 위탁 기준 한눈에
    팩킹 기내 7kg 맞추기: 필수/전자제품·약·귀중품 분리 기내 반입 7kg 팩킹 리스트
    보안 3-1-1 액체 규정·배터리·금지품 체크 금지품 3-1-1 액체 규정 요약
    초과 대비 초과 예상 시 사전결제 요금 vs 현장 비교 후 온라인 구매 초과수하물 사전결제 절약법

    대부분 항공사의 전형적 기준은 기내 115cm(삼변합), 위탁 158cm(삼변합), 23kg/32kg 구간입니다. 단, 항공사·운임·노선·회원등급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공식 페이지를 확인하세요1,3,4,5,6.

    2) 핵심 요약

    • 기내 일반석 1피스(소형 캐리어+개인소지품), 삼변합 115cm 전후 & 7~10kg 제한이 흔함1.
    • 위탁 이코노미 23kg×1~2피스가 보편, 프리미엄/비즈니스는 23kg×2 또는 32kg×2가 잦음3,4,5,6.
    • 액체 3-1-1(100ml 용기/1L 지퍼백/1인 1개) 기본. 젖병·의약품·특수식품은 예외 서류 필요할 수 있음2.
    • 배터리 보조배터리·여분 리튬이온 위탁 금지·기내 휴대, 용량·수량 제한 존재7.
    • 초과 공항 현장보다 사전결제가 대체로 저렴. 번들 상품·왕복 동시 구매 비교 추천3,5,6.

    3) 항공사별 핵심 매트릭스(요약)

    항목 전형적 기준(레퍼런스) 예외/주의
    기내 반입(일반석) 삼변합 115cm 전후, 7~10kg, 1피스+개인소지품1 저비용항공·혼잡노선은 7kg 엄수, 치수 게이트 측정 가능
    무료 위탁(이코노미) 23kg×1~2피스, 158cm 전후가 흔함3,4,5,6 운임·회원등급·노선(미주/유럽/일본 등)에 따라 차이
    프리미엄/비즈니스 23kg×2 또는 32kg×2 경향3,4,5,6 공동운항편·제3자 운항 시 운영사 규정 적용
    액체(보안) 3-1-1: 100ml 이하 용기, 총 1L 지퍼백 1개/인2 면세 액체는 봉인백·영수증 필수, 환승공항 재검색 주의
    배터리 스페어 리튬이온 기내 휴대만, 위탁 금지7 Wh/개수 제한(예: 100~160Wh 사전승인 등)
    초과수하물 사전결제 요금이 현장보다 유리한 경우 다수3,5,6 노선·시즌별 가산, 규격초과(오버사이즈) 별도 부과

    본 표는 빠른 비교용 프레임입니다. 최종 적용은 항공사 공식 페이지를 기준으로 하세요3,4,5,6.

    4) 심화 가이드 바로가기

    5) 출발 72시간 체크리스트

    T-시간 점검 항목 도움말
    T-72~48h 기내/위탁 치수·무게 1차 측정 삼변합 115/158cm, 7/23/32kg 가늠1,3,4,5,6
    T-36~24h 액체·배터리·금지품 최종 분리 3-1-1, 보조배터리 기내 휴대2,7
    T-24h~Check-in 초과수하물 사전결제 vs 현장 비교 왕복·번들 옵션이 현장보다 저렴한지 확인3,5,6

    6) 예외·특례(꼭 확인)

    • 유아 동반/스포츠 장비/악기: 개별 규정·면제 범위가 다름(사전 문의 권장)3,4,5,6
    • 공동운항(Code-share): 운항사 규정이 적용되는 경우 다수 — 두 항공사 페이지 모두 확인
    • 환승 재검색: 환승 공항에서 액체·면세품 재검색 가능 — 봉인백(태퍼-에비던트)·영수증 지참2

    가장 안전한 순서: 운항사 → 발권사 → 공항 보안기관 공지를 그 순서로 확인한 뒤, 내 여정에 적용하세요.

     

     

    7) 결론

    규격(115/158cm)·중량(7/23/32kg)·보안(3-1-1·배터리)만 정확히 맞추면 공항에서 시간을 가장 많이 아낄 수 있습니다. 초과 가능성이 보이면 사전결제로 비용을 낮추고, 특수 물품·코드셰어·환승 재검색 같은 예외를 체크하세요1,2,3,4,5,6,7.

    8) FAQ

    Q1. 삼변합 115/158cm는 어디서 측정하나요?
    캐리어의 핸들·바퀴·돌출부 포함 길이의 합입니다. 공항 게이트·카운터의 게이지에서 측정될 수 있습니다1.
    Q2. 면세점에서 산 액체(주류·향수)는 기내로 들고 탈 수 있나요?
    가능하지만 보안봉인백(영수증 동봉)이 필요하고, 일부 환승 공항에서 재검색·폐기 위험이 있으니 여정별 규정을 확인하세요2.
    Q3. 23kg을 25kg로 넘기면 어떻게 되나요?
    항공사·운임에 따라 중량 초과 요금 또는 추가 피스 구매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사전결제 요금표를 확인해 비교하세요3,4,5,6.

    출처

    1. IATA — Traveler FAQs & Cabin baggage guidance
    2. TSA — 3-1-1 Liquids Rule
    3. 대한항공 — 수하물 규정(위탁·초과·특별 수하물)
    4. 아시아나항공 — 수하물 서비스(기내·위탁)
    5. ANA — Baggage (Carry-on/Checked/Excess)
    6. Lufthansa — Baggage overview (free/excess/oversized)
    7. IATA — Dangerous Goods Regulations (Batteries in baggage)